HOME > 커뮤니티 > 보도자료
|
|||
|
|||
|
|||
2010년 보건복지부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에 따르면, 75세 이상 노인의 평균 잔존치아의 수는 11개에 불과하고, 빠진 치아로 인해 불편을 호소하는 노인은 무려 절반이 넘는 53%에 이른다고 한다. 치아의 상실은 구강질환을 심화시킨다. 구강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충치와 잇몸 염증의 위험도가 높아져 저작능력이 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소화 장애가 발생하게 된다. 씹기 편한 음식만 가려먹게 되기 때문에 영양불균형을 초래하여 결국은 전신 건강상태를 나쁘게 만드는 만큼 문제가 심각하다.
이러한 노인들의 치아건강을 위해 서울특별시와 서울의료원이 손을 잡았다. 노인들을 위해 노인이동치과 서비스를 2009년 8월부터 시작 한 것. 치과치료시설 장비가 장착된 차량을 이용하여 주 2~3회 순회 검진을 실시하고 있다. 노인복지관, 노인요양시설, 양로원, 보건소 등의 시설 외에도 공원이나 행사장 등을 순회하며 구강검진, 발치, 스케일링, 간단한 충치치료, 신경치료, 틀니교정 같은 1회성 진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국민 기초생활 수급자 중 65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틀니대상자를 발굴하여 무료틀니를 제공한다. 작년 한해에만 200여명의 어르신들에게 틀니를 무료로 제공해 드렸고, 연간 7000여명의 어르신들이 이동치과의 도움을 받았다.
가파른 언덕길을 300여 미터 올라오니 비탈길에 힘겹게 주차된 ‘노인치과 이동진료 서비스’라는 이름을 새긴 버스가 보인다. “틀니 있으세요? 드시는 약은요? 아~~해보세요. 뿌리만 있은 지가 너무 오래 되서 잇몸이 뭉개졌어요. 틀니를 해도 치아를 잡을 게 없네요. 버스 안에서 선생님이 자세히 봐 주실 거예요.” 본격적인 진료를 하기 전 간호사는 진료 받으러 온 어르신들에게 불편한 점에 대해 자세히 묻고 기록했다. 진료는 오전 10시부터 시작이었지만 차례를 기다리는 사람들로 복지관 안팎은 이미 만원이었다.
김명희(가명.84세) 할머니는 치료하지 않고 방치한 탓에 치아가 빠진지 오래되어 긴 세월 동안 제대로 된 식사를 할 수 없었다고 했다. 그저 빨아먹고 버리는 게 다였으며 두부나 묵과 같은 부드러운 음식만 먹고 지낼 수밖에 없었다. 대충 삼켜 먹는 식습관으로 인해 소화불량은 늘 할머니를 괴롭혔다. 그러나 김 할머니는 “노인이동치과 서비스를 통해 무료틀니대상자로 선정된 후 16년 만에 김치와 나물을 먹을 수 있었다”며 밝게 웃었다.
우리 국민의 절반이 훨씬 넘는 비율이 자신의 구강건강 상태에 대해 걱정을 하고 있다고 한다. 특히 노인 연령층, 월 평균수입이 낮은 가구, 의료 보호 대상자 등에서 이러한 응답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많은 사람들에게 혜택을 주기 위해서도 노인이동치과와 같은 적극적인 구강보건사업이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노인이동치과 관련 문의는 담당자 조한슬 02)2276-7764 또는 메일 seul1018@nate.com로 문의하면 된다.
보건복지부 주부 기자 이정훈 |
|||
|
|||
|
|||
|